
스프링부트는 기본적으로 WAS에 Apache tomcat이 내장되어있고,따로 설정을 해주지 않는다면 tomcat으로 실행되고있다. 이번에는 tomcat대신 Undertow를 연결해보려한다.plugins { kotlin("jvm") version "1.9.24" kotlin("plugin.spring") version "1.9.24" id("org.springframework.boot") version "3.3.2" id("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") version "1.1.6"}group = "com.steamchk"version = "0.0.1-SNAPSHOT"java { toolchain { languageVersion = Jav..

시작한 프로젝트에 DB를 연결하려한다..다운로드를 받아 윈도우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스팅하려한다. 다운로드받고 설치 진행을하면, root계정에서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해준다. 체크박스 관련1) 원격 접근 시 관리자 계정 접근 허용 여부2) 기본 문자 인코딩 UTF-8 여부 쭉쭉 입력하고 완료를하고나니 윈도우 서비스에 자동으로 등록이되어있다. 다음은 사용하는 디비툴에 연결해보려한다. 위의 설치하는데 기본으로 입력한 port번호를 입력하고,Server Host : localhostUsername : rootPassword 는 설치과정 중 설정에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 테스트 결과 잘연결되었다. 포스팅은 여기까지..

신규 프로젝트를 완성해나가는 프로젝트 생성기 1편. 스팀(Steam) 관련 open api를 이용해 무언가를 만들어볼까하는데.. 이제 시작해보려한다.https://steamchk.com 이라는 홈페이지 이름으로 정했고Group는 url의 역순 : com.steamchkName은 : SteamChecker으로 정했다. 의존성은 사진 좌측하단에 Added dependencies에 간단하게 추가했다.더 추가할게 생긴다면 추가하는 방식으로 할 예정이다. 완성까지 얼마나걸릴지, 어떻게 진행될지는차근차근 작성해보도록 하겠다.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좋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