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편에 이어 의존성 파트를 진행 하기전에 1.tasks.withType { kotlinOptions { freeCompilerArgs = listOf("-Xjsr305=strict") jvmTarget = "17" }}kotlin 컴파일러 옵션을 설정.(1) -Xjsr305=strict 옵션을 통해 null-safety를 강화 (2) jvmTarget = "17" 옵션을 통해 컴파일된 바이트코드가 Java 17과 호환되도록 한다. 2. tasks.withType { useJUnitPlatform()}테스트 실행 설정모든 테스트 실행을 JUnit Platform을 사용하여 실행하도록 하기위한 설정 3. 대망의 의존성**Gradle 버전에 맞는 버전을 사용해야 오..
코틀린으로 에이전트를 생성하면서의존성 설정에 애를 먹어 작성해본다. 1.plugins { id("org.springframework.boot") version "2.7.13" id("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") version "1.0.15.RELEASE" kotlin("jvm") version "1.6.21" kotlin("plugin.spring") version "1.6.21"}현재 사용중인 spring-boot버전, jvm버전을 설정 2.springBoot { mainClass.set("com.example.test.testApplication")}메인 클래스를 지정 3. java { sourceCompatibility = JavaVe..